본문 바로가기

매일 신문을 읽어요

하남 미사강변도시 지하철 5·9호선 호재로 집값 호가 10억 육박

나스닥이 많이 올랐구나옹

2020.6.10(수) 경제신문 읽기

1. 나스닥 9,953.75(▲29.00) 1만에 육박하는 이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9,953.75 포인트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신문기사에는 8일 9924.75로 최고가를 경신했다고 나와있지만 네이버 금융에서 조회해보면 이기 그 기록을 깼네요. 

 

3월 최저점이었던 6,631.42에서 급등한 배경 3가지를 신문에서 다뤄보았습니다.

1. 미국 중앙은행(FED)의 양적완화로 인한 막대한 유동성

2. 코로나19로 인한 IT 기업들의 상대적 혜택(클라우드, 온라인쇼핑, 친환경 등) - 애플, MS, 아마존, 테슬라, 넷플릭스 등

3. 코로나19 봉쇄가 풀린 미국의 경제활동 재개 - 5월 일자리 251만개 창출, 실업률 13.3%로 예상치보다 하락

 

2. 원달러 환율 1200원 밑으로 내려가는 이유?

이번에는 환율을 보겠습니다. 원달러 환율이 1,201.00원인데요. 이것은 6/8 기준 환율입니다.

이유는 모르겠지만 네이버 금융에 반영되는 시장지표는 시간차가 있나봐요. 기준일을 확인해야 합니다.

실제 환율은 1,197.70(▼7.10)! 

 

올해 3월 19일에는 1달러를 사려면 우리돈 1,280.00원을 내야했는데 

이제는 1,197.70원을 내고 1달러를 살 수 있게 되었습니다.

우리 돈의 가치는 오르고 달러 가치는 떨어진 셈인데요.

이렇게 원달러 환율이 하락한 이유도 신문에서 3가지로 정리했습니다.

 

1. 글로벌 위험자산 선호현상

2. 글로벌 시장 달러유동성 공급

3. 한국 코로나19 상황 상대적 양호

 

미국이 대규모로 유동성을 공급하느라 달러를 마구 찍어내고 있어서

덩달아 신흥국의 통화 가치도 오르고 있다고 합니다.

 

이를 알 수 있는 지수는 MSCI 신흥국 투자지수

한국, 중국, 브라질, 대만, 러시아 등 신흥국 25곳의 통화가치를 반영해 산출하는데요.

지난 3월에 최저점이었고 지금은 3.6% 오른 1547.33으로 가치가 올랐음을 알 수 있습니다.

글로벌 투자자금이 신흥국으로 서서히 이동하고 있다고 하네요.

 

3. 마이데이터가 무엇이죠

마이데이터 정의(출처 : 시사상식사전)

김태훈 뱅크샐러드 CEO의 인터뷰가 실린 오늘 기사에는 8월에 '마이데이터'가 시행되면 금융시장에 대변혁이 온다는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마이데이터는 개인이 자신의 방대한 금융정보 데이터를 제3자가 한데 모아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오는 8월 5일부터 시행됩니다.

 

이를 통해 기존 금융 회사뿐만이 아니라 국내 핀테크 기업들(카카오뱅크, 네이버파이낸셜, 카카오페이 등)이 이 마이데이터를 이용해서 다양한 금융정보 종합조회, 금융상품몰 등을 서비스할 수 있게 됩니다.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는 것이죠. 금융중심축이 은행에서 개인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라 합니다.

 

 

4. 제2금융(새마을금고, 신협) 수신액이 오른다

기준금리와 시중 은행 예금금리가 0%대로 내려가면서 은행에 묶여있던 돈이 새마을금고, 신협, 상위권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으로 옮겨가고 있다는 뉴스입니다.

 

은행연합회 소속 18개 은행 55개 상품 중 제로금리 상품이 33개. 적금도 0% 대 금리 상품이 등장하고 있어서 이자수입을 기대하기가 힘들어요. 반면 저축은행 12개월 정기예금은 1.88%, 새마을금고와 신협 금리는 아직 2% 초반대, 또한 조합원은 이자소득세 14% 감면 혜택이 있습니다.

 

5.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하반기 주가가 기대되는 이유?

강달러가 아닌 약달러, 산업용 원자재 가격과 경제지표가 오르면서 한국, 러시아, 중국 등 신흥국에 유리한 시장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신흥국 증시 반등의 조건으로 달러 약세를 지목하고 있는데요. 그만큼 달러가 약하고 신흥국 통화가 강세일때 신흥국에 투자하면 높은 수익률을 올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상반기에는 코로나19로 인한 기업들의 재택근무 증가로 서버투자가 늘어나면서 반도체주 성적이 괜찮았는데요.

하반기에는 서버 투자는 부진하지만 경제가 재개되면서 모바일(스마트폰), 게임기 출시로 기대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바로 아이폰 12, 갤럭시노트 20이 출시되고 플레이스테이션5, 엑스박스 시리즈 X가 출시되기 때문이죠! 이 안에는 낸드플래시가 들어가기 때문에 이런 실적을 기대할 수 있다고 합니다.

 

6. 하남 미사 집값 곧 10억?!

하남 미사 강변도시에 집 사신 분들 부럽습니다. 지하철 5·9호선 연장을 앞두고 미사 강변 푸르지오 84㎡ 기준 집값이 9억 7천만원까지 올랐습니다. 1월 가격은 8억 8천만원이었는데 4월 18일 가격이 9억 7천만원에 호가는 10억을 넘어섰다는 뉴스입니다.

 

지하철 개통 호재로 실수요자들이 적극적으로 매수! 5호선이 개통되면 하남에서 광화문까지 50분이면 갈 수 있고요. 9호선이 연장되면 강남까지 30분이면 갈 수 있으니 접근성이 괜찮죠.

 

하남 전셋값도 덩달아 오르고 있다고 합니다. 여기에 고준석 동국대 겸임교수라는 분의 인터뷰까지 나와서 하남시는 고가주택도 적어서 규제가 심하지 않고 지하철 호재도 있어서 갭투자 하기 좋다~ 라고 기름을 붓고 있군요.

 

<시장지표(9일)>

코스피지수 2188.92(+4.63)

코스닥지수 753.82(+0.78)

국고채금리(3년물, 연%) 0.861(-0.041)

환율(원달러) 1197.70(-7.10)

원엔(100엔당) 1108.62

원유로 1351.72

WTI 38.19달러(-1.36)